본문 바로가기

음식27

독특한 식감을 가지고 있는 파스타 역사 2세기경 그리스의 의사 갈레노스의 저서에 밀가루와 물을 함께 혼합해서 만든 itrion이라는 말이 언급되었습니다. 예루살렘 탈무드에 기록되어있는 itrium은 삶은 반죽 종류로, 팔레스타인에서 3세기부터 5세기까지 먹었으며, 9세기의 시리아의 의사이자 사서 학자인 Isho bar Ali가 편찬한 사전에는 아라비아 어원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한 세몰리나로 만들어 말려서 요리하는 끈 같은 모양의 itriyya에 대해서 설명하고 있습니다. 무함마드 알 이드리시의 지리학 저서에는 1154년 시칠리아 로저 2세 시대의 자료를 편찬하면서 노르만 시칠리아에서 생산하고 수출하는 이트리야 (itriyya)에 대해 언급하고 있습니다. 이트리아는 이탈리아에서 trie로 알려져 있는데 이 말은 tagliatelli와 같.. 2023. 1. 10.
한국 대표 음식 매콤한 비빔밥 역사 비빔밥의 기원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그릇이 많이 없는 집 밖에서 산신제나 동신제를 지낼 때 신인공식(神人共食)이라는 생각에 따라 그릇 하나에 이것저것 받아 섞어 먹던 것, 또는 조상을 위한 제사를 지낼 때 제물을 빠짐없이 음복하기 위해 밥에 여러 가지 제찬을 고루 섞어 비벼 먹던 것에서 발달하였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래전부터 비빔밥을 즐겨 먹었던 것으로 추정됩니다. 그도 그럴 것이 밥에 각종 반찬과 장을 넣고 비벼 먹으면 장의 맛으로 각종 반찬의 맛들이 일체감이 생기며 맛의 보장은 물론이고 훌륭한 잔반 처리 능력을 가지고 있습니다. 더불어 밥+고추장+참기름+나물류만 구비하면 되는 속 재료 간편성과 그냥 재료를 몽땅 넣은 뒤 고추장, 참기름으로 비비기만 할 정도로 손이 많이 안 가는 요리기도 합니.. 2023. 1. 10.
매콤하고 아삭아삭 맛있는 김치 역사 "김치"의 첫 어형은 16세기 서적에서 발견되었습니다. 1518년 간행된 《벽 온방》과 1527년 간행된 《훈몽자회》에 "딤ᄎᆡ"가, 1587년 간행된 《소학언해》에 "팀ᄎᆡ"가 한국에서 만들어진 한자어 "沈菜(현대 한국어 발음: 침채)"의 한글 표기 형태로 등장하며, 이것이 이후 "짐ᄎᆡ", "짐츼" 형태를 거쳐 "김치"가 되었으리라 추측됩니다. 삼국시대의 삼국사기에 따르면, 삼국시대에도 발효식품을 즐겨 먹었다고 합니다. 신라에서는 불교가 들어오게 되면서 채식이 유행하고, 발효 채소도 먹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고려시대에는 이규보의 1241년 간행된 것에는 이라는 시에 무로 담근 김치가 "漬(지)"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또한 1478년 간행된 《동문선》에 수록된 이달충이 지은 《산촌잡영》이라는 시에.. 2023. 1. 10.